반응형 일반화학22 혼합물의 종류와 용액 1. 혼합물의 종류 1) 불균일 혼합물 혼합물은 두 가지 이상의 순물질이 각각의 화학적 성질에는 변화가 없이 임의의 비율로 섞여 있는 것입니다. 혼합물은 겉보기에 따라 불균일(heterogeneous) 혼합물과 균일(homogeneous) 혼합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불균일 혼합물은 구성 성분들이 육안으로 보았을 때,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조성으로 나타납니다. 균일 혼합물은 적어도 육안으로 보기에는 균일하게 혼합이 이루어져 전 영역에 걸쳐 일정한 조성을 갖습니다. 2) 균일 혼합물 균일 혼합물은 구성 입자의 크기에 따라 용액(Solution) 또는 콜로이드(Colloid)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용액은 가장 대표적인 균일 혼합물로서, 전형적인 이온이나 작은 분자의 크기인 지름 0.. 2023. 2. 9. 증발과 끓음 그리고 클라우시우스 클라페이론 식 1.증발열(heat of vaporation) 1) 증발열의 정의 증발열(heat of vaporation)은 액체 1mol이 기체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에너지양입니다. 2) 증기 압력의 선형화 액체의 증기 압력은 온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지만, 증기 압력에 자연로그를 취한 $ ln(P_{vap})$를 절대 온도의 역수인 $\frac{1}{T}$에 대해 도시하면, 선형 관계가 성립합니다. 선형 그래프는 수식 $y=mx+b$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 ln(P_{vap})$, $ x=\frac{1}{T}$, $ m=\left ( \frac{\Delta H_{vap}}{R} \right ) $, $ b=C$(상수)입니다. 2. 클라우시우스-클라페이론 식(Clausius-Clapeyron equat.. 2023. 2. 6. 유도 단위와 단위 환산 1. 부피와 부피의 측정 물체가 차지하는 공간의 양으로 정의되는 부피는 SI단위로 세제곱미터($ m^{3}$)로 측정합니다. 1세제곱미터는 한 변이 각각 1$ m$인 입방체가 차지하는 공간의 양으로 정의합니다. 이때 세제곱데시미터($ dm^{3}$; $ dm^{3}=0.001m^{3}$)는 익숙한 리터($ L$)와 같습니다. 또한 세제곱센티미터($ cm^{3}$; $ cm^{3}=0.001dm^{3}$)는 밀리미터($ mL$)와 같은 양입니다. 미국식 단위인 갤런(gal)과 쿼트(qt)는 아래의 크기와 같습니다. $$ 1m^{3}=264.2 gal$$ $$ 1dm^{3}=1.057 qt$$ 2. 밀도와 밀도의 측정 1) 밀도 물체의 질량과 그 부피의 관계는 밀도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물체의 질량을 부.. 2023. 1. 26. 용해도 예측 1. 용해도 예측 1) 깁스 자유 에너지 변화 다른 모든 화학적 및 물리적 과정과 마찬가지로 용질이 용매에 용해되는 과정은 깁스 자유 에너지 변화(Gibbs free-energy change) $ \Delta G=\Delta H-T\Delta S$와 관련이 있고, 이 값으로부터 자발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만약 $ \Delta G$값이 음수이면 용해 과정은 자발적이고 용질이 녹으며, $ \Delta G$값이 양수이면 용해 과정은 비자발적이고 용질은 녹지 않습니다. 엔탈피 항 $ \Delta H$는 용해 과정 동안 계의 내부 또는 외부로의 열 흐름을 나타내면, 온도 의존성인 엔트로피 항 $ T\Delta S$는 계의 내부에서 분자 무질서 정도를 나타냅니다. 엔탈피 변화는 용액이 형성될 때, 방출 또.. 2023. 1. 25.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