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YTHON16 파이썬 문자형, 논리형, 참조형 1. 문자형 1) 문자열의 연산 문자열은 더하기와 곱하기 연산이 가능합니다. 문자열과 문자열을 이어줄 때는 더하기 연산자 + 를 사용하고, 문자열을 반복할 때는 곱하기 연산자 * 를 사용합니다. 2) 문자열 슬라이싱 파이썬은 문자열 index에 접근하기 위해서 첨자를 사용합니다. 또한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에는 대괄호 [] 를 이용합니다. 이 대괄호 안에 첨자와 콜론(:)을 이용해서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할 수 있습니다. str[5] 문자열 중에서 앞에서부터 5번째 문자를 의미합니다. str[5:] 문자열 중 5번째 문자부터 끝까지를 의미합니다. str[:5] 문자열 중 처음부터 5번째 문자까지를 의미합니다. str[-5] 문자열 중에서 뒤에서부터 5번째를 의미합니다. 3) 문자열 조합 파이썬의 문자열의.. 2023. 6. 21. 파이썬 자료형 1. 파이썬의 자료형 1) 파이썬 자료형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자료형의 종류는 다양하며, 크게 수치형, 문자형, 논리형, 참조형 자료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객체를 참조하는 참조형은 기본 자료형을 제외한 거의 모든 데이터의 자료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료형은 때로는 데이터 타입이라고 하기도 하며 특정 데이터의 자료형은 type() 함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파이썬 자료형의 종류 Int 정수형 자료형으로 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데이터입니다. Float 실수형 자료형으로 실수형에는 소수점이 있으며, 지수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입니다. Complex 복소수를 의미합니다. $ a+bi$와 같은 실수부와 허수부로 구성되며, 허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List 다른 언어에서의 배열과 .. 2023. 6. 18. 파이썬 변수의 사용 1. 파이썬 변수의 사용 1) 데이터 저장 파이썬에서는 변수를 선언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변수에 대입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선언된 변수는 특정 위치에서 데이터를 재활용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다시 대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변수의 데이터는 프로그램 내에 특정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외부 데이터 입력 받기 문자열과 여러 다른 형식의 데이터를 print() 함수를 이용해 출력할 수도 있지만, 키보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받고 이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키보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해서는 input()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input() 함수는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로 이 함수로 입력 받은 데이터는 즉시 사용 가능하지만, 변수에 저장함으로써 필요한 부분에서 재사용할 수.. 2023. 6. 15. 파이썬 변수 1. 변수 1) 변수란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값이나 생성한 데이터는 모두 상수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은 상수인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를 변수라고 하고, 변수는 컴퓨터 메모리에서 생성됩니다.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변수를 사용하면 변수에 자주 사용하는 값을 저장해 놓음으로써 코드를 간결하고 일관되게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에 코드를 수정할 때도 편리합니다. 변수에 새로운 데이터를 담으면 기존의 데이터는 사라지고 새로운 데이터로 변수의 값이 갱신됩니다. 또한 변수에 있는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ConFer] 파이썬 언어는 변수를 미리 선언하지 않아도 필요한 위치에서 즉시 변수를 사용 가능하게 설계되었습니다. 파이썬의 input() 함수를 사용해 입력 받.. 2023. 6. 1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