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수
1) 변수란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값이나 생성한 데이터는 모두 상수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은 상수인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를 변수라고 하고, 변수는 컴퓨터 메모리에서 생성됩니다.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변수를 사용하면 변수에 자주 사용하는 값을 저장해 놓음으로써 코드를 간결하고 일관되게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에 코드를 수정할 때도 편리합니다. 변수에 새로운 데이터를 담으면 기존의 데이터는 사라지고 새로운 데이터로 변수의 값이 갱신됩니다. 또한 변수에 있는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ConFer]
파이썬 언어는 변수를 미리 선언하지 않아도 필요한 위치에서 즉시 변수를 사용 가능하게 설계되었습니다. 파이썬의 input() 함수를 사용해 입력 받은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문자열 데이터로 설정됩니다. 파이썬에서는 문자열 데이터와 숫자형 데이터를 구분해 연산을 하기 때문에 실수와 같이 연산에 사용하는 데이터는 데이터 타입을 바꿔주어야 합니다. 이때 정수로 데이터 타입을 바꿀 경우에는 int() 함수를 이용하고, 실수로 변환 시에는 float() 함수를 이용해야 합니다. 이와 반대로 숫자형 데이터를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할 때는 str() 함수를 사용해 데이터 형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2) 변수의 선언 명명법
파이썬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 이름은 영문 대문자, 소문자 그리고 숫자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변수 이름은 영문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합니다. 또한 변수 이름에 사용할 수 있는 특수 문자는 _ 만 가능하고 변수의 첫 문자에 숫자가 올수 없습니다. 또한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예약어도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파이썬에서 한글로 변수 이름을 설정할 수는 있지만,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때는 사용자의 운영체제에 따라서 인코딩 방식이 다르므로 실행 중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되도록 영어로 작성해 줍니다.
[ConFer]
파이썬에서 변수의 식별자로 사용 불가능한 이름에는 예약어와 내장 함수 이름, 모듈 이름 등이 있습니다. 예약어에는 if, else, while, for 등이 있고, 내장 함수는 input이나 print와 같은 것을 말합니다.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math 모듈이 있습니다.
3) 변수 선언
변수 이름과 함수 이름, 클래스 이름을 모두 합쳐서 식별자라고 합니다. 이는 데이터나 객체를 구분하기 위해 이름을 붙이기 때문입니다. 코딩에서 변수를 만드는 근본적인 이유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값이나 내부에서 자주 사용되는 값을 변수에 담음으로써 구분하여 자주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식별자는 최대한 단순하면서도 그 의미를 잘 담고 있는 단어로 만듭니다. 만약 두 단어 이상의 조합일 경우에는 낙타봉 표기법을 사용합니다. 낙타봉 표기법이란 두 번째 이후로 시작되는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거나 단어와 단어 사이에 _ 를 넣어 특수 문자로 구분하는 방식입니다.
[ConFer]
낙타봉 표기법은 다음과 같이 두 번째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numFactorial
또 다른 표기법으로는 단어와 단어 사이를 _ 로 구분하는 뱀 표기법이 있습니다.
num_factorial
이때 띄어쓰기도 특수 문자에 해당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변수 이름은 소문자로 시작하는 명사로, 함수 이름은 소문자로 시작하는 동사로, 클래스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하는 명사로 짓습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자료형 (0) | 2023.06.18 |
---|---|
파이썬 변수의 사용 (0) | 2023.06.15 |
파이썬 데이터와 자료형 그리고 상수 (0) | 2023.06.02 |
파이썬 데이터 입출력 (0) | 2023.05.29 |
파이썬의 활용 (0)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