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ython17 파이썬 산술, 비교, 대입 연산자 1.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에 사용하는 연산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더하기 A + B A에 B를 더합니다. 빼기 A - B A에서 B를 뺍니다. 곱하기 A * B A에 B를 곱합니다. 나누기 A / B A를 B로 나눕니다. / 의 경우, 결과값의 형식은 소수점이 있는 실수형 데이터입니다. 나누기 A // B A를 B로 나눕니다. // 의 경우는 파이썬3에 추가된 형식으로 결과값의 형식은 소수점이 없는 정수형 데이터입니다. 나머지 A % B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사용합니다. %는 나머지 값을 결과값으로 사용합니다. 산술 연산자는 변수와 변수, 변수와 상수뿐만 아니라 상수와 상수를 연산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Fer] 나머지 연산 % 는 주로 어떤 단위를 나누어 더 큰 단위를 만들거나 개수를.. 2023. 6. 27. 파이썬 문자형, 논리형, 참조형 1. 문자형 1) 문자열의 연산 문자열은 더하기와 곱하기 연산이 가능합니다. 문자열과 문자열을 이어줄 때는 더하기 연산자 + 를 사용하고, 문자열을 반복할 때는 곱하기 연산자 * 를 사용합니다. 2) 문자열 슬라이싱 파이썬은 문자열 index에 접근하기 위해서 첨자를 사용합니다. 또한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에는 대괄호 [] 를 이용합니다. 이 대괄호 안에 첨자와 콜론(:)을 이용해서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할 수 있습니다. str[5] 문자열 중에서 앞에서부터 5번째 문자를 의미합니다. str[5:] 문자열 중 5번째 문자부터 끝까지를 의미합니다. str[:5] 문자열 중 처음부터 5번째 문자까지를 의미합니다. str[-5] 문자열 중에서 뒤에서부터 5번째를 의미합니다. 3) 문자열 조합 파이썬의 문자열의.. 2023. 6. 21. 파이썬 자료형 1. 파이썬의 자료형 1) 파이썬 자료형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자료형의 종류는 다양하며, 크게 수치형, 문자형, 논리형, 참조형 자료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객체를 참조하는 참조형은 기본 자료형을 제외한 거의 모든 데이터의 자료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료형은 때로는 데이터 타입이라고 하기도 하며 특정 데이터의 자료형은 type() 함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파이썬 자료형의 종류 Int 정수형 자료형으로 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데이터입니다. Float 실수형 자료형으로 실수형에는 소수점이 있으며, 지수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입니다. Complex 복소수를 의미합니다. $ a+bi$와 같은 실수부와 허수부로 구성되며, 허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List 다른 언어에서의 배열과 .. 2023. 6. 18. 파이썬 변수의 사용 1. 파이썬 변수의 사용 1) 데이터 저장 파이썬에서는 변수를 선언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변수에 대입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선언된 변수는 특정 위치에서 데이터를 재활용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다시 대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변수의 데이터는 프로그램 내에 특정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외부 데이터 입력 받기 문자열과 여러 다른 형식의 데이터를 print() 함수를 이용해 출력할 수도 있지만, 키보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받고 이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키보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해서는 input()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input() 함수는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로 이 함수로 입력 받은 데이터는 즉시 사용 가능하지만, 변수에 저장함으로써 필요한 부분에서 재사용할 수.. 2023. 6. 15.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