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파이썬 산술, 비교, 대입 연산자

by Hunger 2023. 6. 27.
반응형

1.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에 사용하는 연산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더하기 A + B
A에 B를 더합니다.


빼기 A - B
A에서 B를 뺍니다.


곱하기 A * B
A에 B를 곱합니다.


나누기 A / B
A를 B로 나눕니다.

/ 의 경우, 결과값의 형식은 소수점이 있는 실수형 데이터입니다.


나누기 A // B
A를 B로 나눕니다.
// 의 경우는 파이썬3에 추가된 형식으로 결과값의 형식은 소수점이 없는 정수형 데이터입니다.


나머지 A % B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사용합니다.
%는 나머지 값을 결과값으로 사용합니다.

 

산술 연산자는 변수와 변수, 변수와 상수뿐만 아니라 상수와 상수를 연산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Fer]
나머지 연산 % 는 주로 어떤 단위를 나누어 더 큰 단위를 만들거나 개수를 셀 때 사용합니다. 돈을 거슬러줄 때 화폐 단위별 개수는 나머지 연산자 % 를 사용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전체 시간을 초로 받아 이를 다시 분으로 분을 다시 시간으로 변환해 몇 시 몇 분 몇 초인지 구할 때도 나머지 연산자가 유용합니다.

2. 비교 연산자

수학에서 '같다'의 의미로 자주 사용하는 '='는 코딩에서는 대입 연산자로 사용됩니다. 코딩에서 '같다'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등호를 두 번 연속으로 사용한 ' == '을 사용합니다.

 

대입 연산자 A = B + C
B와 C를 더한 결과를 A에 대입합니다.


비교 연산자 A == B
A의 값은 B입니다. 이에 대한 결과값으로는 True나 False만 가능합니다.

 

비교 연산은 어떤 값이 다른 값에 비해 큰지, 작은지, 같은지 등 각 항의 관계를 비교하므로 관계 연산이라고도 합니다. 이때의 결과값은 True나 False 같은 논리값이 됩니다.

 

아래의 식들은 참일 경우에는 True라는 결과값을 출력하고, 거짓일 경우에는 False의 결과값을 출력합니다.

 

크다, 작다 >,<
A > B A는 B보다 크다.
A < B A는 B보다 작다.


크거나 같다, 작거나 같다 >=, <=
A >= B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
A =< B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

 

같지 않거나 같다 !=
A != B A의 결과값이 B와 같지 않으면 True, 같으면 False를 출력합니다.

3.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는 산술 연산과 같이 다른 연산을 하며 어떤 값을 변수에 대입할 때 사용합니다. 변수를 선언할 때 처음 값을 초기화하는 것 또한 대입에 해당합니다.

4. 복합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에는 복합 대입 연산자가 있습니다. 복합 대입 연산은 중복되는 항을 줄여주어 누적 연산이라고도 하며 복합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면 작성해야할 소스 코드를 줄여줍니다. 복합 대입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 A += B
A에 B를 더하고 이를 다시 A에 대입하고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 A -= B
A에서 B를 빼고 이를 다시 A에 대입하고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 A *= B
A에 B를 더하고 이를 다시 A에 대입하고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 A /= B
A를 B로 나눈 후 이를 다시 A에 대입하고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 A %= B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다시 A에 대입하고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ConFer]
/= 연산자는 결과값이 실수가 됩니다.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if 조건문  (0) 2023.07.03
파이썬 논리, 삼항 연산자와 우선순위  (0) 2023.06.30
파이썬 문자형, 논리형, 참조형  (0) 2023.06.21
파이썬 자료형  (0) 2023.06.18
파이썬 변수의 사용  (0) 2023.06.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