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물리학16

상대 속도와 특수 상대성 이론의 가정 1. 상대 속도 1) 상대 속도의 정의 동일한 물체의 운동도 관측자에 따라 다르게 측정됩니다. 즉, 속도는 상대적입니다. 상대 속도는 단위 시간당 두 물체가 얼마나 가까워지고 멀어지고 있는가의 척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관측자 A가 본 B의 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V_{AB}=\sqrt{V_{B}-V_{A}} $$ 2) 상대 속도의 계산 ① 속도의 방향이 같을 경우 속도의 방향이 같을 때 관측자 A가 본 B의 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V_{AB}=V_{B}-V_{A} $$ ② 속도의 방향이 다를 경우 속도의 방향이 다를 때 관측자 A가 본 B의 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V_{AB}=-V_{B}-V_{A}=-(V_{B}+V_{A}) $$ 2. 특수 상대성 이론 1) 마이컬슨 · 몰리 실.. 2023. 8. 19.
전반사와 광통신 1. 전반사 1) 전반사 ① 전반사의 정의 전반사란 빛이 진행하다가 매질의 경계면에서 굴절 없이 반사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ConFer] 거울에서의 반사는 전반사가 아닙니다. 거울면에서는 빛의 일부가 흡수되고 나머지 빛만 반사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입사한 빛의 세기와 반사된 빛의 세기가 같은 전반사와 달리 거울에서는 입사한 빛의 세기보다 반사된 빛의 세기가 더 약합니다. ② 임계각 빛이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입사할 때, 굴절각이 $ 90^{\circ} $가 될 때의 입사각을 임계각이라고 합니다. $$ sini_{c}=\frac{n_{2}}{n_{1}} $$ $ i_{c} $ : 임계각 $ n_{1} $ : 빛의 속력이 느린 매질의 굴절률 $ n_{2} $ : 빛의 속력이 빠른 매질의 굴절.. 2023. 3. 8.
전류에 의한 자기 작용 1. 자기장과 자기력선 1) 자기장 자기장이란 자석 주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입니다. 자기장의 방향은 자기장 속에서 나침반의 $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이고, 단위는 $ T$(테슬라)를 사용합니다. 2) 자기력선 ① 자기력선의 특징 자기력선은 나침반의 $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가게 그려준 선입니다. 자기력선은 자기력선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셉니다. 그리고 자기력선의 한 점에서의 접선 방향이 그 점에서의 자기장의 방향입니다. 또한 자기력선은 도중에 갈라지거나 교차하지 않고 끊어지지 않습니다. ②자기력선의 성질 자기장의 방향은 자석 외부에서는 $ N$극에서 $ S$극으로 향하지만, 자석 내부에서는 $ S$극에서 $ N$극으로 향합니다. 자기력선은 $ N$극에서 나와서 $ S$극으로.. 2023. 2. 27.
여러 가지 운동 1. 운동의 정의 1) 위치의 정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측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과 변화된 거리 그리고 변화가 일어난 방향을 모두 표기해야 합니다. 2) 이동 거리와 변위 이동 거리는 움직인 경로의 길이이고, 변위는 위치의 변화량으로 처음 위치와 나중 위치의 차에 해당합니다. [ConFer] 물리량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종류로 나눕니다. 그 중 하나인 스칼라량은 크기만을 갖는 물리량으로 계산 과정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을 고려합니다. 스칼라량의 예로는 이동 거리, 질량, 크기, 에너지, 속력, 일, 시간 등이 있습니다. 또 다른 물리량으론 벡터량이 있습니다. 벡터량은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갖는 물리량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보다는 변화로 인한 결과가 더 중요하게 고려됩니다. 벡터량의 예로는 변위, .. 2023.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