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스트3

파이썬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 1. 함수와 메소드 함수와 메소드는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입니다. 함수와 메소드를 구분하는 기준은 함수와 메소드가 선언되어 소속된 위치입니다. 함수의 경우는 객체나 클래스 외부에서 단독으로 선언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메소드는 객체나 클래스 내부에서 선언된 것으로 객체나 클래스에 종속된 개념입니다. 2. 리스트 자료 구조 1)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의 구조는 튜플과 유사합니다. 리스트 구조의 인덱싱과 슬라이싱도 문자열에서 사용하던 방법과 상당히 유사합니다. country = ["Korea", "Japan", "France", "Spain", "USA", "Italia", "China", "Germany"] #1 print(country[:5]) #2 print(country[5:]) #3 pr.. 2023. 7. 27.
파이썬 리스트 자료 구조 1. 리스트(List) 리스트는 다른 컴퓨터 언어의 배열과 유사하지만 리스트에 저장되는 각 요소들이 서로 다른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리스트는 데이터들을 리스트 구조에 맞춰서 단순히 나열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여러 개의 자료를 열(row)의 형태로 저장하는 형식은 파이썬에서 리스트로 구현합니다. 파이썬에서 리스트는 대괄호 [] 로 표현하고 데이터에는 첨자(index)를 통해 접근합니다. 2. 리스트의 구조 1) 리스트의 선언 리스트를 생성하면 리스트의 요소에 대해 첨자가 자동으로 붙습니다. 파이썬 리스트에서 첨자는 0부터 시작하고 마지막 요소의 첨자는 전체 요소의 개수에서 1일 뺀 형태인 len(list_name)-1이 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리스트를 살펴보.. 2023. 7. 15.
파이썬 자료 구조의 종류 1. 파이썬 자료 종류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자료 구조에는 List, Tuple, Distionary, Set이 있습니다. 이 세 자료 구조는 각각 형태와 용도가 다릅니다. 다양한 자료 구조를 통해서 복잡한 내용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알아보면, List와 Tuple은 index, 즉 첨자로 데이터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List의 경우에는 값을 바로 변경할 수 있는 반면 Tuple은 값을 직접 변경할 수 없습니다. Dictionary와 Set은 중괄호를 통해 표현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Dictionary는 Key와 Value의 쌍으로 요소를 이루지만, Set은 Key나 index가 없기 때문에 값으로 내용을 구분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따라서 Set 구조에는 같은 값이 중복되게.. 2023.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