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이썬 자료 종류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자료 구조에는 List, Tuple, Distionary, Set이 있습니다. 이 세 자료 구조는 각각 형태와 용도가 다릅니다. 다양한 자료 구조를 통해서 복잡한 내용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알아보면, List와 Tuple은 index, 즉 첨자로 데이터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List의 경우에는 값을 바로 변경할 수 있는 반면 Tuple은 값을 직접 변경할 수 없습니다.
Dictionary와 Set은 중괄호를 통해 표현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Dictionary는 Key와 Value의 쌍으로 요소를 이루지만, Set은 Key나 index가 없기 때문에 값으로 내용을 구분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따라서 Set 구조에는 같은 값이 중복되게 저장될 수 없습니다.
[자료 구조에 따른 형태]
List
대괄호를 사용하고 첨자로 데이터에 접근하여 값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17, 21, 'Samsung', 'Apple', 777]
Tuple
괄호를 사용하고 첨자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할 수는 있지만 직접적인 수정은 불가능하고 파이썬에서의 문자열 편집 방법과 유사합니다.
("Boat", "Car", "Subway", 4, 1)
Dictionary
중괄호를 사용하며 Key와 Value의 쌍으로 요소가 이루어집니다. 딕셔너리는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객체 구조와 유사하기 때문에 파이썬의 딕셔너리 데이터는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객체는 JSON 문자열을 통해 호환이 가능합니다.
{"name":"programer","age":"17"}
Set
중괄호를 사용하고 Key나 첨자가 없어 중복된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Seoul", "Busan", "Incheon", "Daegu"}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 (0) | 2023.07.27 |
---|---|
파이썬 리스트 자료 구조 (0) | 2023.07.15 |
파이썬 중첩 if문과 while문 (0) | 2023.07.06 |
파이썬 if 조건문 (0) | 2023.07.03 |
파이썬 논리, 삼항 연산자와 우선순위 (0) | 2023.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