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데이터 종류
데이터의 종류는 크게 문자열 데이터, 수치형 데이터, 참조형 데이터, 논리형 데이터로 나뉩니다. 이때 수치형 데이터는 다시 실수형 데이터와 정수형 데이터로 나뉩니다. 이렇게 데이터는 용도와 형식에 따라 여러 종류의 자료로 분류되고 이를 데이터(data)라고 합니다. 따라서 자료형은 데이터 타입(Data Type)과 같은 의미 입니다. 또한 데이터는 구조에 따라 리스트, 튜플, 셋, 딕셔너리 등으로 나뉩니다.
2.상수
1)상수와 변수
값이 정해져 있지 않고 계속해서 변하는 데이터인 변수와 달리 상수는 값이 절대로 변하지 않는 데이터입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는 변수의 타입을 미리 정하지 않기 때문에 선언된 변수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도 자유롭게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코드는 선언된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예입니다.
이때 파이썬의 변수는 특정 자료형에 종속되지 않고 어떤 데이터라도 마음대로 담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문자열 상수만을 사용할 때와 달리 변수의 값만을 바꿈으로써 데이터의 값을 쉽게 교체 할 수 있습니다.
2)상수의 선언
상수는 수정이 불가능한 데이터입니다. 따라서 변수와 같이 직접 선언할 수 없습니다. 상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나 변수에 저장되는 데이터 그 자체이기 때문에 값이 정해진 상수를 변수로 선언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변수를 상수처럼 사용하고자 한다면 모든 철자를 대문자로 표시해서 이 변수의 값은 상수와 같이 변하지 않는다고 표시해줄 수 있습니다.
[ConFer]
변수를 선언할 때나 변수에 값을 대입할 경우 사용하는 연산자는 =을 사용합니다. 수학에서는 '같다'의 의미로 배웠지만, 프로그래밍에서 =는 왼쪽에 있는 값을 오른쪽에 있는 변수에 대입하라는 의미와 같습니다. 프로그래밍에서 '같다'를 나타낼 때는 =을 연속으로 두 번 사용한 == 을 사용합니다. age = 17은 age라는 변수에 17의 값을 대입하라는 의미이지만, age == 17은 age라는 변수에 담긴 값이 곧 17의 값과 같다는 의미가 됩니다.
3)상수의 사용
상수는 프로그램이 도중에 그 값이 바뀔 수 없는 데이터로 대표적인 상수에는 원주율 $ \pi$가 있습니다. 상수의 값이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바뀔 경우 컴퓨터는 이를 오류로 받아들입니다. 이런 상수를 모아 놓은 모듈이 $ math$ 모듈입니다. 이 $ math$ 모듈에서는 여러 상수 뿐만 아니라 $ sin$과 $ cos$과 같은 다양한 함수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ConFer]
PyCharm 편집기에서 $ math$를 입력하고 Enter를 두 번 눌러 모듈을 추가한 후에 $ math.$을 입력하고 Ctrl + Space Bar를 누르면 힌트를 볼 수 있습니다. PyCharm에서 다른 대부분의 모듈의 힌트도 이와 같이 모듈 이름 뒤에 점을 붙인 후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변수와 상수의 구분
파이썬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와 C언어와 달리 상수를 선언할 수 없습니다. 파이썬은 프로그래밍 중에 상수를 만들 수 있는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를 상수처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정이 가능하지 않은 데이터라는 의미로 변수 이름을 모두 대문자로 사용하면 됩니다. 또한 클래스 내부에 멤버의 속성을 설정할 때는 멤버 변수 이름 앞에 _ 를 붙여줌으로써 마찬가지로 수정하지 않은 데이터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더라도 문법적으로 데이터를 절대로 변경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강제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상수로 사용할 변수의 이름을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은 파이썬 문법이 아니라 관행입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변수의 사용 (0) | 2023.06.15 |
---|---|
파이썬 변수 (0) | 2023.06.12 |
파이썬 데이터 입출력 (0) | 2023.05.29 |
파이썬의 활용 (0) | 2023.05.22 |
파이썬 (0) | 2023.01.09 |
댓글